(서울=파이낸셜리더스) 주서영 기자 = 임금근로자 가운데 월 200만원을 받지 못하는 비중이 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 임금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동기 대비 4.3%포인트 떨어지면서 감소 추세가 3년 6개월째 이어졌다.
22일 통계청의 '2019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임금근로자 취업자 2천30만1천명 중 월평균 임금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가 9.7%, 100만∼200만원 미만이 24.3%였다.
200만∼300만원 미만은 31.0%, 300만∼400만원 미만은 16.9%, 400만원 이상은 18.0%였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1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은 0.1%포인트, 100만∼200만원 미만은 4.2%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200만∼300만원 미만과 300만∼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은 각각 1.9%포인트, 1.1%포인트, 1.2%포인트 늘었다.
이처럼 2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이 줄고 200만원 이상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는 2016년 상반기 이후 3년 6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통계청은 2013년 상반기부터 반기 기준으로 해당 통계를 집계 중이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2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이 줄어든 것은 최저임금의 효과로 보기보다는 취업자가 상대적으로 고임금 일자리로 이동하는 추세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의 71.9%가 월평균 200만원 미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저임금 비중이 가장 컸다. 서비스종사자는 71.8%, 판매종사자 45.1% 역시 월 200만원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 대분류별로는 농림어업에서 월평균 200만원 미만을 받는 임금근로자 비중이 66.8%로 가장 많았다. 숙박 및 음식점업(66.4%),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53.7%),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52.6%) 등이 뒤를 이었다.
올 상반기 전체 취업자는 2천703만8천명이며, 이 가운데 비임금근로자는 673만8천명이었다.
산업 소분류별로는 음식점업 취업자가 172만7천명으로 가장 큰 비중인 6.4%를 차지했다. 작물 재배업 취업자 수가 122만5천명(4.5%), 비거주 복지시설운영업 취업자가 98만7천명(3.7%)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 취업자 수가 11.0% 늘어나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고용 알선 및 인력 공급업 취업자는 11.9%, 건물건설업은 9.1% 감소했다.
성별로 가르면 남성 가운데서는 작물재배업 취업자가 70만9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음식점업이 109만8천명으로 단연 많았다.
산업 중분류로 보면 소매업(자동차 제외) 취업자 규모가 223만명으로 전체 8.2%, 음식점 및 주점업이 213만4천명(7.9%), 교육서비스업이 188만9천명(7.0%)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해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11.0% 증가했고 종합건설업과 사업지원서비스업에서 각각 8.1%, 6.5% 줄었다.
연령계층별로는 15∼29세 가운데 음식점 및 주점업 취업자(55만6천명)가 가장 많았고 30∼49세에서는 교육서비스업(103만8천명), 50세 이상은 농업(117만1천명) 분야에서 취업자가 가장 많았다.
교육 정도별로는 대졸 이상에서는 교육서비스업 취업자(158만6천명)가 가장 많았지만, 고졸 가운데서는 음식점 및 주점업(117만명), 중졸 이하는 농업(82만5천명) 취업자가 두드러졌다.
산업 대분류별로는 제조업이 442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도매 및 소매업이 365만8천명이었다.
특히 임금근로자는 제조업(391만5천명), 비임금 근로자는 도매 및 소매업(136만5천명) 취업자가 많았다.
직업소분류별 취업자는 경영 관련 사무원이 232만9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매장판매종사자가 194만1천명, 작물 재배종사자가 114만9천명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은 경영 관련 사무원 취업자가 162만5천명으로 가장 많고 여성은 매장 판매 종사자가 106만4천명으로 최다였다.
군인을 제외한 직업 중분류 상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 취업자는 391만4천명으로 전체 14.5%였다. 매장판매 및 상품대여직 일 197만3천명(7.3%), 조리 및 음식 서비스직이 163만명(6.0%)이었다.
연령계층별로는 15∼29세와 30∼49세 모두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 취업자가 가장 많았다. 50세 이상에서는 농·축산 숙련직 취업자가 두드러졌다.